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금융상품을 추천해드리려고 해요.
요즘 4차 산업혁명이 대세잖아요.~
늘 3차산업혁명만 배워왔지만
요즘 대세는 4차산업혁명이죠!
4차산업 혁명이 뭘까요??
4차산업혁명은 정보통신 기술(ITC)의 융합으로
이루어낸 혁명 시대를 말해요.
18세기 초쯤에 일어난 3차이후 네 번째로 중요한
산업시대입니다.
이 4차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공지능(AI)과 로봇, 사물인터넷(IOT)입니다.
이러한 기술혁신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정말 큽니다.
먼저 인공지능은 우리의 모든 것을 꿰뚫어보고
우리에게 맞는 것을 추천해줍니다.
알파고와 같은 인공지능이 나날이 발전한다면
우리에게 귀찮은 일들
자잘한 계산
돈관리 등을 인공지능에게 맡길수 있는거죠!
(이래서 혁명임)
로봇은 실질적으로 우리에게 더 와닿습니다.
로봇은 우리에게 잡일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만들어 주죠.
청소나 설거지를 누가하냐 싸움을 하지 않아도 되며
누군가의 장난감으로도 사용될것입니다.
사물인터넷은
사물에 센서와 통신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 기술도 중요합니다.
점점 우리는 일에 치이고
장을 보러갈 시간도 나지않을때
냉장고가 알아서 필요한 식품을 주문해준다면?
브라보~~
완전 좋죠!
이러한 세가지 말고도 여러가지가
4차산업 혁명의 핵심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에게 혁명적인 일상을 선물해주죠.
(아직 발전은 덜됐지만)
이러한 4차산업은 이미 선진국에서는 자리잡은지 꽤 되었습니다.
여러 기업에서 4차산업 관련하여 꾸준하게 수익을 내고 있습니다.
여러 나라에서는 향후 인류의 먹거리 산업으로
이 4차산업을 적극적으로 키우고 있습니다.
지난 번 본 동영상에서는
고기의 세포로 스테이크 하나를 만들더군요.
맛도 모양도 비슷한. 세포분열을 통해서요.
아직 상용화되기 너무 비싼가격 때문에
물건너갔지만 다가올 날을 기다린다면
우리는 소를 키우지 않고도 소를 먹을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도 이 열풍이 불고있는 것은 당연합니다.
지난 대통령선거에서
여러 후보들이 4차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겠다는
공략을 내세우기도 했죠!
전문가들은 아이오티 시장규모가 250조 이상이 될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점점 더 많아질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알파고 열풍때문에 인공지능 시장도 2천조까지 오를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렇게 중요하고 트렌디한 혁명을 알아보았다면
이와 관련된 투자상품은 없을까...
사실 우리나라에는 이와 관련한 회사들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펀드는 주로 해외기업들에 투자하는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펀드들이 투자하는 회사는 꾸준하게 매출을 내왔고
더 나아가 지금의 시장규모로 보았을때
더 오를 가능성이 충분하므로 좋은 것입니다.
피델리티 등의 해외 유명 자산운용가들이 운용하고 있는
펀드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관련된 주식들로는
알파고를 배출하고 자율주행자동차에
큰 투자를 하고 있는
알파벳.
클라우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잇는
아마존.
등등의 기업이 좋겠습니다.
최근에는 ELS도 뜨고 있는데요
알파벳이나 페이스북 혹은 인텔을 기초자산으로하는
ELS도 한 번 눈여겨 보시기 바랍니다.
해외펀드들은 중요한것이 세금입니다.
국내펀드보다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하죠.
환매 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가 부과되므로
금융소득종합과세가 우려되는 사람이라면
너무 큰 금액은 투자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또 해외펀드는 매도 차익에 대해 22퍼센트를 부과합니다.
연간 250만원은 면제합니다.
세율이 높죠..ㅠㅠ
하지만, 국내 주식과 국내 기업들을 투자대상으로 한 주식형 펀드는
비과세상품이니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제가 알려드린 상품은 거의 고위험 고수익 상품들입니다.
원금손실이 될 수 있는 상품인거죠.
만약 원금 손실에 거부감을 갖고 계시는 투자자라면
소액을 투작하거나
적립식으로 투자하시거나
줌 길게 내다보시고 투자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4차산업혁명을 설명드리고
과 금융상품을 추천해드렸는데요!
큰 리스크가 있으니 조심하세요~~
그럼 이만 안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 전기세 절약방법 8가지/에어컨 없이 살기 (0) | 2017.08.08 |
---|---|
내일배움카드제로 공부하고 취업하기! (0) | 2017.08.05 |
노후준비의 시작, 자녀와 노후대책 세우기 (0) | 2017.08.03 |
세테크, 비과세를 찾아 떠나는 여행 (0) | 2017.08.01 |
소득공제 체크카드사용법 바로알기! (0) | 2017.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