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재테크

노후준비, 젊을 때 하자

핀솔 2017. 6. 30. 12:21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는 오늘 '노후준비'에 대해 글을 쓰려고 해요~



'명절에 잔소리하는 친척들에게 한방먹이는 방법'이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게시글을 살펴보면,


"반에서 몇등하니?"

라는 잔소리에


"큰아버지 노후준비는 하시고 계세요?

얼마 모으셨어요?"

이렇게 공격하라고 하더군요.


그정도로 노후준비는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닿아있고

누군가의 약점이 될수있습니다.


그것은 준비해야하지만 준비하지 못한 사람에대한 공격이겠지요.

그정도로 노후에 대해서 

미리 알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당신이 몇 살인지는 모르지만,

당신이 20대이든, 30대이든, 40대이든 그 이상이든

노후준비, 얼른 하세요!

라고 말하고 싶네요.


왜냐하면 우리는 일하는 기간은 짧지만

일을 하지않는 기간은 길기 때문이에요.


노후준비, 말처럼 쉬운것이 아니지요.

요즘 취업난에 허덕이며 취업하면 평균 30살쯤 되어있잖아요?

여성분들은 조금 일찍 하겠지만, 비슷하죠.


그렇다면 회사에서 우리를 내보내는 시간은 언제일까요?

남성은 평균 50, 여성은 평균 47세입니다.

우리는 약 20년동안 열심히 일하다가 

회사에서 나가야하는 은퇴를 경험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언제 세상을 떠나게될까요.

평균 80-90세라고 가정하면

우리는 20년동안 벌어서

30년 이상을 일하지 않고 살아야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월급의 50퍼센트 이상을 저금해야하는 상황이오는데.

이게 가능한겁니까??


라고 질문할수도 있겠습니다.


노후에 자그마한 일거리도 없다면 그렇게 해야

돈에 허덕이지 않고 살 수 있다고 하는데요.


답하자면 가능합니다.






언제, 어디서나 노후준비를 얼른 하라는 말만 들었을 뿐.

우리는 아직 체감하지 못합니다.


아직 즐기기에 바쁘고

요즘 유행하는 욜로인생! 그 말처럼 즐기며 써야하잖아요.


한번뿐인 인생 즐기자며 썼다가

늙어서 고생할수도 있는 일입니다.


물가는 상승하고

월급은 일정하고

대체 우리는 어떻게 소비를 감축하며 노후준비를 해야하는 걸까요


조금이라도 꾸준하게 노후준비를 하는 것 밖에는 답이 없습니다.


아주 조금이라도요.


그렇다면 목표액은 얼마일까요?

노후자금이라고 해도 얼마가 들지 예상할 수 없지만

한 번 현재 자신의 소비패턴을 한 번 계산해보세요.


은퇴전, 매월 300만원정도를 썼다면

은퇴후에는 우리는 보통 210만원을 씁니다.

하지만 다들 놀라실텐데요


정말 그렇게나 많이 쓴다고?!


은퇴전 생활비의 75%정도를 쓴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그에는 다양한 요인이있습니다.




첫 번째로, 우리는 생각만큼 갑자기 돈을 덜쓰지 않는다.


우리가 써온 소비습관대로 노후에도 쓰는 것이다.

늙었기 때문에 더 써야한다는 생각도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 물가의 상승이다.

월급은 그대로, 물가는 올라간다면

당연히 쓰는 돈도 많아진다.




세 번째로,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은 돈이 더 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나이가 든 노트북이 많은 수리비용을 요구하듯이 

인간 또한 마찬가지이다. 

우리의 몸은 젊을 때 같지 않을것이고

예상치 못한 병원비

의료비 등이 우리의 생활비를 강타할 것이다.

나이가 들어서 가장 무서운 것이 계단이라고 하지 않는가.



이렇게 우리는 나이가 들었다고 돈을 덜 쓰지 않는다.

그렇다면 미래의 우리를 위해 지금부터

당장이라도 시작해야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계획하고 저축해야하는걸까?


내가 앞서 말한 은퇴후 쓰는 돈은 개인마다 천차만별로 다를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이 측정해 놓은 것에 맞추기 보다는

나의 상황에 맞도록 준비하면 된다.

하지만 이런 구체적인 것들을

어린 나이에 알기란 쉽지않다.


이 때 재무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국민연금공단은 종합재무설계서비스를 제공한다.

국가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재무상담이니 안심하고

그냥 가서 받으면 된다.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노후준비상담, 자기진단 재무설계, 노후준비정보 등

알고싶다면 알려주는 것이 많다.


국민연금 모의계산도 해볼 수 있고

내가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조회해볼수도 있다.



개인차가 있겠지만 모든 사람들이 원하는 노후는

매달 생활에 필요한 돈을 가지는 것이다.

직장에서 월급주듯이 

은퇴후에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연금가입'이다. 








연금이란 경제활동을 해서 수입을 얻는 것이 힘든

노후를 위해 경제활동을 하면서 벌어들인 수입의 일부를

저금하는 제도입니다.


우리나라의 연금은 

공적연금

사적연금 제도가 있습니다.


공적연금은 국가가 운영하고

사적연금은 사적기관에서 운영합니다.

(복권도 이러한 형태를 띈 연금복권이 있다.)


공적연금제도는 공무원이 아니더라도 

가입하여 저축하면 공무원처럼 돈을

꼬박꼬박 줍니다.


사적연금은 개인이 선택해서 가입하고

퇴직연금이나 개인연금이 대표적입니다.


좀 더 안정된 노후를 살기 위해서 젊을 때 

얼른 연금저축 또는 개인연금에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2~30대에 연금에 가입했다고 하더라도

갑자기 급한돈이 필요하여 해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혜택만 보고 가입액을 높게 설정하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된것입니다.

오랫동안 유지가 가능한 금액을 설정하여 투자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렇게 노후준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실질적 도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러분들에게 노후준비가 꼭 필요하고, 

그 심각성을 알려드리기 위해 쓴 글이니

심각성만 깨닫고 가셔도 됩니다.


노후준비는 모두 함께 하는 것이며

빨리 깨닫고 생각할수록 

더 나은 삶의 질이 보장되어있으니까요

우리 모두 하루빨리 시작해서


평안한 노후를 보내보아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