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여러분~~
어제는 연금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주택연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주택연금이란?
역모기지론 이라고도 하는 주택연금은,
주택을 담보로해서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만 60세 이상의 분들이 금융기관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주택을 담보로 제공하면
매달 고정적인 생활자금을 연금식으로 줍니다.
말 그대로 주택을 소유하신 분께서
주택을 담보로 돈을 받는 것이죠.
*역모기지론이란?
모기지론의 반대라는 뜻인데요.
모기지론은 집을 사기위해 담보로 주택을 제공하고
주택 구입 자금을 빌려주는 제도이지만
역모기지론은 이미 집을 가진 사람이
그 집을 담보로 돈을 받는 형태입니다.
주택연금의 종류
1. 정액형 : 주택연금을 지급받을 때 매달 일정 금액을 받음
2. 증가형 : 연 3%씩 증가하는 유형
3. 감소형 : 연 3%씩 감소하는 유형
*대출이 있으면 대출 한도의 50%내에서
연금을 한꺼번에 받아 대출을 갚고
나머지 금액으로 연금을 받을수도 있음.
주택연금 가입 조건
1. 만 60세 이상
2. 1주택자
3. 대상 주택은 시가 9억원 이하,
지방자치단체에 신고된 노인복지주택
4. 주택연금 가입자 혹은 배우자가
실제 주택에 거주하고 있어야 함.
주택 연금 산정 방법
주택 가격 평가는 여러가지 기준으로 합니다.
1. 인터넷 부동산 시세
2. 한국 감정원 부동산테크의 인터넷 시세
3. 공사와 협약을 체결한 감정평가업자의 최초
6개월 이내 감정평가액
3.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주택공시가격
주택 연금의 장점
주택연금은 국가가 지급하는 연금이기때문에
안전하다는 가장 큰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안심하고 가입이 가능하죠.
부부 중 한 분이 사망하셔도 연금액은 배우자가
사망할때까지 똑같이 지급해줍니다.
연간 200만원 한도로 대출이자비용에 소득공제를 해주는 혜택도 있습니다.
주택연금 가입 절차
1. 한국주택금융공사 방문
2. 콜센터 전화 상담으로 신청
이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신청은 콜센터에서 하시더라도
필요서류를 준비하여 공사에 방문하셔야 합니다.
공사에서는
1. 가입 적격 심사
2. 근저당권 설정 및 약정서
3. 공사에서 은행으로 보증서 발급
4. 가입자가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함.
이러한 단계로 업무를 진행합니다.
더 궁금한 사항은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를 통해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짠테크 방법 3가지! (0) | 2018.03.15 |
---|---|
소비트렌드 미닝아웃(meaning out) 이란? (0) | 2018.03.10 |
연금의 종류, 연금 총정리 (0) | 2018.03.08 |
P2P 대출로 주택담보대출 받기 (0) | 2018.01.28 |
재건축 개발이익 환수제란, 환수제에 대한 논란 (0) | 2018.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