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펀드수수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는 현재 국민은행의 한 펀드를 

가입한지 1년이 다 되어가는데요.

펀드 수익률은 잘 알겠지만

펀드 수수료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었어요.




그래서 오늘은 펀드수수료에 대해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펀드는 많은 투자자들로부터

돈을 모아서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여

그 수익을 투자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는 형식의 금융상품입니다.


펀드를 운용하면서 금융회사는

투자자들에게 여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서비스를 댓가로 받는 것이

'수수료'입니다.

수수료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일회성 수수료이며

다른 하나는 연단위 수수료입니다.

일회성 수수료는 처음 펀드에 

가입할 때 또는

펀드를 환매할 때 한 번만 내는

수수료입니다.

연단위 수수료는 연단위로

매년 부과되는 수수료입니다.



그렇다면 수수료는 얼마정도 일까요?

은행이나 증권사에서는

투자자들의 성향을 먼저 파악후

적절한 상품을 추천합니다.

이를 추천하고 판매할 때 생기는 수수료가

일회성 판매 수수료입니다.

일회성 수수료는 투자자들이 한 번만

지불하므로 펀드를 오래 보유할수록

수수료율은 떨어집니다.

보통은 1%입니다만,

2년간 보유시 0.5%정도로 떨어집니다.


연단위 수수료는 TER이라고도 불립니다.

총비용은 운용보수와 판매보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식형 펀드의 비용은 연 1.8%~3%이며

채권형 번드의 비용은 연 0.7%~1.5%정도입니다.




어떤 수수료를 받아가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펀드의 이름끝에 붙는 알파벳으로

우리는 수수료가 어떤식으로 붙는지

알 수 있습니다.

A-선취수수료가 있으며 연간 보수가 낮음

B-후취수수료

C-선/후취 수수료가 없음

연단위 수수료가 높음

D-선/후취 수수료가 모두 있음

E-인터넷 전용펀드




그렇다면 수수료는 어떻게 낮출 수 있을까요?

저는 확인해 보았더니 C형이더라구요.

미리 알았으면 다른 유형을 선택했을텐데!

수수료를 낮추기 위해서는 먼저

펀드의 이름을 통해 확인하고

투자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오프라인에서 추천받아

가입하는 것 보다,

온라인 채널에서 가입하는 것이

더 저렴하다고 합니다.


또한 동일한 펀드라면, 

연금펀드가 훨씬 수수료율이 낮습니다.

C형보다 1%이상 아낄수 있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온라인채널에서 어떻게 가입할까요?

은행사 어플로도 가입이 가능하고,

증권사 어플로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또다른 채널로는 '펀드슈퍼마켓'이 있는데요

'펀드슈퍼마켓'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직접 투자해보고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펀드 수수료 포스팅을 마칠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