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퇴직연금 고르는 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퇴직연금제도는 우리의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퇴직금을 회사가 아니라

금융회사에 맡기고 회사가 부도가 나더라도

퇴직급여를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우리나라는 13년 전 기업단위로 퇴직연금제도 도입을

목적으로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이 통과되었습니다.

연금제도가 도입된지는 12년이 흘렀네요.


100세시대인 요즘 60즈음 정년퇴직을 하면

남은 40년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 고민되실 텐데요.

필수인 퇴직연금을 알아보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역시 선택이 아닌 의무겠죠.

국민연금으로 생활유지는 가능하지만

조금더 편안한 생활을 위해서라면

퇴직연금이나 개인연금을 함께 준비하시는 것이

베스트라는점!

이 세가지를 함께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 개개인에 맞추어 하긴 어렵지만

어떻게 고르면 될까요?



1. 평균임금에 따라

퇴직 연금은 확정급여형과 확정기여형, 개인퇴직연금 이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퇴직연금을 고르려면 이 세가지 중에서 골라야 하는 것이죠.

그러기 위해서는 평균임금을 아셔야 합니다.

자신의 평균임금에따라 확정급여형이냐 확정기여형이냐를 택해야 하는 것입니다.


먼저 확정급여형이란 근로자가 받을 퇴직급여가

사전에 확정되는것을 뜻합니다.

기업이 부담하는 금액은 적립금을 운용하는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퇴직연금제도입니다.




이 제도의 특징은 부담금을 납부하는 것입니다.

연금규약에 명시된 퇴직급여추계액의 60퍼센트 이상

수준을 우리가 납부해야 하며

기업의 부담금은 운용수익률에 따라 변동됩니다.

현행 퇴직금 수준은 근속년수에 30일분 평균임금입니다.

근속년수가 길거나 음금인상이 별로 높지 않다면

물가 인상률조차 못따라갑니다.


확정기여형이란 회사의 기여금수준이 사전에 결정되고

근로자가 받을 연금액은 적립금 운용 실적에 따라 변동되는

것입니다.


근속년수가 길거나 임금인상이 비확정적이라면

확정기여형으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2. 여윳돈으로 개인퇴직연금 들기

회사가 어느정도를 부담하는 위의 두 가지 제외

여윳돈이 생기면 개인퇴직연금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퇴직연금은 개인 소유 계좌로 하시고

55세 이전의 수익은 세금납부가 연기됩니다.

연간 1800만원까지 돈을 납부할 수 있어

자유로운 노후생활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난 여윳돈이 없는데"하시면

안하셔도 됩니다!

너무 부담가지셔서 현재의 행복을 놓치지는 마세요!

개인퇴직연금은 여윳돈이 있을 때!!!


4. 고수익을 위해 주식형 펀드 비중을 높이기.



5. 추천상품

안정형과 수익형 두 가지로 나누어 추천드리겠습니다.


안정형1- 흥국퇴직연금멀티펀드

국채, 통안채, 회사채 등에 투자하는 국내의 채권입니다.

만기가 짧은 채권을 보유함으로서

리스크와 변동성을 줄였습니다.


안정형2-미래에셋 퇴직글로벌다이나믹채권

글로벌 채권시장에 분산 투자하는 채권입니다.

국내 시중금리에 더 더해집니다.

위험채권의 비중은 최소화하여 안정성이

꽤 있습니다.


수익형1-신영마라톤 40C-P2

기업의 내재가치 대비 저평가된 가치주에 투자합니다.

블루오션에 투자하는 느낌이죠.

하지만 저평가되어서 그대로 저평가가 되면

수익이 나기 어렵기때문에

리스크가 크고, 

대박이 나면 수익률이 크기 때문에 수익형입니다.

신영마라톤펀드의 자펀드입니다.




수익형2- 한국투자중소밸류C-R

중소형 가치주를 중심으로 종목을 선정합니다.

안정적인 장기 수익률을 자랑합니다.

2007년 즉, 10년전 설정된 이후 지수 대비에

높은 수익률을 차지합니다.


리스크를 감수하실 수 있다면 수익형에,

조금 안전하게 작은 재미를 보시려면 안정형에 투자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퇴직연금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보았는데요.

조금이나마 낯선 연금들을 차근차근 알아보니,

별로 어려운 것도 없습니다.

유형을 선택하고 그에 맞는 상품을 잘 검색하면 되는 것이죠.

자녀에게 투자하는 것도 좋지만

미래에 자녀에게 손을 벌리고 싶지 않다면

연금을 미리미리 들어놓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댓글